발생
1. 세계 각국의 유우에 발생,어린 소 보다 나이 먹은 소에 많이 발생
2. 産歷,비유량,계절, 同居牛數, 營養 상태에 따라서 發病率에 차이
3. 오염 사육 환경이나, 다습 또는 미숙한 착유자가 관리하는 우군에 많이 발생
전염
- 병원균이 유두에서 유방에 침입함. 전염방법 오염된 깃, 흙과 유두의 접촉, 비위생적인 착유작업
- 유두, 유방의 창상에 기인한 유방염, 파리에 의한 전염. 유방 주입 약의 비위생적인 사용에 의한 전염
- 창상 감염은 미 경산우에서 많다.
병원균의 근원
유우와 직접, 간접으로 접촉하는 사람, 유우 또는 다른 가축, 환경, 유두 컵,유방 닦는 수건, 착유자의 손등
발병기전
일반 세균에 자연 감염된 건강한 젖소 ->무증상 또는 경도의 이상유를 분비 -> 착유잘못, 사육환경의 급변, 생리적 실조, 혼합감염등에의한 stress, 건유기의 젖소나 미경산우에 더위,흡혈곤충에 의한 stress -> 젖소 체내에서 catecholamine, corticosterone 의 과잉분비 ->말초림프구의 감소와 유방 내 혈관의 투과성 항진, 유선내의 백혈구의 침윤, 혈청단백, histamine, bradykine 등의 염증성 물질의 이상증가->유방내 세균 총 중 특정 균 종의 이상증식 및 유선조직의 손상-> stress 로 작용하여 염증물질이 더욱 증량, 유즙의 심한 이상이나 유방의 발열, 발적, 종창 등의 증상 (유방염의 자발성 감염 병)